subSTT


해당 게시물을 인쇄, 메일발송하는 부분 입니다.
의 게시물 상세내용 입니다.
1.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과 출가
작성자 감로사 작성일 2006-04-25 조회수 2054
1.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과 출가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과 일생에 관해서는 신빙성 있는 많은 역사자료가 있습니다. 그 중에는 절대적 인물로 부각시키기 위하여 신비화시킨 흔적도 엿보이지만 신화는 하나의 상징이므로, 그 상징을 통해 역사적 인물이었던 부처님의 일생을 더듬어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의 생애를 알려 주는 직접적인 문헌자료로는 아함부 계통의 여러 경전 중 특히 <불소행찬>, <불본행경>, <상응부 경전> 등이 있습니다. 또 부처님의 일생을 증명할 수 있는 고고학적 유물도 남아있습니다. 지금도 네팔의 다라니지방 룸비니에는 기원전 250년경에 아쇼카왕이 '여기서 붓다 석가모니가 탄생하다.'라고 명문을 새긴 돌기둥이 남아있습니다.
부처님의 부족인 석가족은 농업을 생업으로 하는 태양의 후예라는 부족집단으로 코살라라는 대국과 인접한 작은 나라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비록 대국에 속해 있었지만 민주적인 공화체제 아래 평화롭고 자유로운 그 나라의 온화한 분위기 속에서 장차 부처님이 될 싯다르타 태자는 성장하였습니다.
석가란 그 종족의 이름이고 모니는 성인(聖人)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석가모니"는 "석가족에서 나신 성인"이라는 뜻으로 그 분의 본명이 아닙니다. 그 분은 고오타마 싯다르타라는 태자로서의 이름이 있었고, 대각을 이룬 후에는 '불타' 즉 '깨달은 분'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부처님께서 부처가 된 뒤 비구들에게 지난날의 왕자 시절을 이렇게 회상하고 있습니다.

'내가 아버지의 집에 있을 때에는 매우 행복했었다. 정원에는 연꽃이 피어나는 연못이 있었고, 내 방에는 늘 카시국에서 나는 전단향의 향기가 그윽했었다. 내가 밖에 나갈 때나, 비나 추위 그리고 더위를 막기 위해 백산(白傘)이 받쳐졌고, 계절에 따라 지내는 별장이 따로 있었고…'
이런 안온과 풍요로움 속에서 왕자로서 갖추어야 할 무예와 학문을 익혔고, 17살 때 콜리족의 선각왕의 딸인 야수다라와 결혼해 라훌라라는 아들을 낳았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은 이와 같이 상류 계급의 귀공자로서 축복받으며 탄생했으나 탄생 후 7일 만에 생모와 사별하는 슬픔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지식인으로서의 소양도 갖추었고 한 여성과의 사랑을 나누는 등 인간으로서의 괴로움이나 즐거움을 모두 겪으며 우리와 같은 한 인간으로 산 것입니다.
그런데 그의 마음속에는 늘 떠나지 않는 우수가 깃들어 있었습니다. 궁전 안의 온갖 환락보다는 나무 그늘에 조용히 앉아서 사색하는 것을 즐겼습니다. 사색하는 시간은 점점 늘어났습니다.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한 말속에 태자시절의 부처님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나의 출가 전의 생활이 행복했지만, 그것이 참된 행복, 즉 궁극적으로 고(苦)가 없는 그런 행복은 아니었다. 사람이 늙고, 병들고 죽는 것은 필연적인 것이다. 그것을 피할 도리를 깨닫지 못했으면서 남의 늙음, 남의 죽음을 보고도 자신의 늙음, 죽음은 생각지 않고 혐오하고 비웃는 것은 어리석음이다. 이는 옳은 일이 아니다. 그와 같은 생각을 하였을 때 청춘에 대해 뽐내던 나의 오만한 마음은 절로 없어졌다.'

그래서 그는 청춘이 주는 즐거움보다 병고나 죽음이라는 무거운 과제를 안고 우수에 잠기게 되었습니다. 경전에는 도성의 4대문에서 각각 노인과 병자와 장례행렬, 그리고 출가 사문(沙門)을 보고, 마침내 사문이 되어 고(苦)가 없는 최상의 행복을 추구하고자 출가를 결심했다고 씌어 있습니다. 그래서 싯다르타는 부모, 처자 그리고 부귀영화 등 세속적인 일상생활을 버리고, 인간의 유한성에 대한 문제인 고(苦 : 生, 老, 病, 死)를 극복할 수 있는 길(진리-道)을 찾고자 한 것입니다.
또 싯다르타가 출가를 결심한 데에는 당시 인도의 사회 여건도 많이 작용했습니다. 당시 무사, 귀족계층 청년들의 꿈은 왕이 되어 영토를 넓혀서 강력한 왕국의 대왕이 되거나 아니면 정치적 야심을 버리고 출가해서 정신세계에 군림하는 성자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싯다르타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생, 노, 병, 사 와 현세의 고뇌 그리고 자신의 처지를 성찰(省察)한 싯다르타 태자는 인간이 바라는 최고 최상의 이상 추구에 온 생애와 정열을 바치기로 굳게 다짐했습니다.
이러한 싯다르타의 출가는 개인적인 고뇌의 해결이나 현세적인 인간 고뇌로부터의 도피가 아니라 모든 인류의 이상을 추구하기 위한 창조적인 고뇌에서 우러난 열정적인 분발심이었습니다.

download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는 댓글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전글 :   부처님을 닮아 가는 것<서문>
다음글 :   부처님오신날 등공양
리스트
게시물 수 : 14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4 부처님오신날 등공양   감로사 06.04.25 1,882
13 9. 깨달음(3) - 세상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감로사 06.04.25 1,864
12 8. 깨달음(2) - 진리의 길   감로사 06.04.25 1,815
11 7. 깨달음(1) - 양 극단을 경계하라.   감로사 06.04.25 1,747
10 6. 부처님의 마지막 설법과 입멸   감로사 06.04.25 2,027
9 5. 자비로운 전법의 길   감로사 06.04.25 1,770
8 4. 부처님의 최초 설법   감로사 06.04.25 1,893
7 3. 부처님은 무엇을 깨달았나?   감로사 06.04.25 2,241
6 2. 부처님의 수행   감로사 06.04.25 1,896
5 1.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과 출가   감로사 06.04.25 2,054
1 [2]